大大小小 ACTIVITIES

대대소소의 소식을 전합니다.

ABOUT US

블로거 대대소소가 운영하는 블로그입니다. 다양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INNOVATION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통해 혁신적인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CONTENT

유용하고 흥미로운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외부 네트워크 vs 내부 네트워크, DHCP 서버까지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 회사에서 IT 담당하게 되면서 네트워크 관련해서 정말 많이 헤맸던 사람입니다. 처음에는 "외부 네트워크가 뭐지?", "DHCP는 또 뭐야?" 하면서 완전 멘붕이었거든요 ㅠㅠ

그런데 2년 정도 직접 부딪히면서 배우다 보니 이제는 어느 정도 자신감이 생겼어요! 완전 전문가는 아니지만,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와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내용들 공유해볼게요. 혹시 저처럼 네트워크 때문에 머리 아프신 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어요 😄

📋 목차 (바쁘신 분들은 3번부터!)

  1. 네트워크가 뭔데? (기초 개념)
  2. 외부 네트워크 vs 내부 네트워크 (핵심 차이점!)
  3. DHCP 서버란? (이게 없으면 진짜 불편해요)
  4. 실전 활용 방법 (제가 실제로 쓰는 팁들)
  5. 문제 해결 가이드 (자주 겪는 오류들)

1. 💡 네트워크가 뭔데? (정말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처음에 저는 네트워크를 너무 어렵게 생각했어요. 근데 알고 보니 정말 간단한 개념이더라고요!

쉽게 비유하면:

  • 네트워크 = 컴퓨터들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통로
  • 마치 전화선으로 사람들끼리 통화하는 것처럼, 컴퓨터들도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요

왜 네트워크를 나눌까?

솔직히 처음에는 "그냥 다 연결하면 되지 왜 나눠?" 했는데요, 이유가 있더라고요:

보안: 회사 기밀 자료를 인터넷에 바로 노출하면 안 되잖아요 ✅ 속도: 내부끼리만 통신하면 훨씬 빨라요 ✅ 관리: 문제 생기면 어디가 문제인지 찾기 쉬워요 ✅ 비용: 외부 통신은 돈이 드는데 내부는 무료!


2. 🔍 외부 네트워크 vs 내부 네트워크 (드디어 핵심!)

이 부분이 정말 헷갈렸거든요. 제가 이해한 방식으로 설명해볼게요!

🏢 내부 네트워크 (Private Network)

쉽게 말하면: 우리 집/회사 안에서만 쓰는 네트워크예요

제가 겪은 실제 사례:

회사에서 사무실 내 컴퓨터 30대를 연결해야 했어요. 처음에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는데, 알고 보니 공유기 하나만 있으면 되더라고요!

내부 네트워크의 특징들:

IP 주소가 특별해요:

  • 192.168.x.x (제일 많이 봤어요)
  • 10.x.x.x (큰 회사에서 주로 써요)
  • 172.16.x.x ~ 172.31.x.x (중간 크기 회사)

인터넷에서는 안 보여요:

  •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 (보안에 좋아요!)
  • 같은 사무실에 있어야 접속 가능

속도가 빨라요:

  • 파일 공유할 때 진짜 빠르더라고요
  • 제 경우 1GB 파일이 10초 만에!

💡 제가 내부 네트워크 쓰는 경우:

  • 사무실 컴퓨터들끼리 파일 공유
  • 프린터, 복합기 공유 (이게 진짜 편해요)
  • 회사 내부 서버 접속
  • 보안 카메라 연결

🌍 외부 네트워크 (Public Network)

쉽게 말하면: 인터넷이요! 전 세계 누구나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외부 네트워크의 특징들:

IP 주소가 공개되어 있어요:

  • 예: 203.241.132.82 (이런 식으로 생겼어요)
  • ISP(인터넷 회사)가 할당해줘요

어디서나 접근 가능:

  • 집에서도, 카페에서도, 해외에서도
  • 인터넷만 되면 OK!

보안이 중요해요:

  • 누구나 접근할 수 있어서 해킹 위험
  • 방화벽 필수! (처음에 이거 몰라서 고생했어요...)

💡 제가 외부 네트워크 쓰는 경우:

  • 회사 홈페이지 운영
  • 원격 근무할 때 VPN 연결
  •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 한눈에 비교하기 (실제로 제가 느낀 차이)

구분내부 네트워크외부 네트워크

접근 범위 같은 건물/사무실 안 전 세계 어디서나
IP 주소 192.168.x.x 같은 사설 IP 공인 IP (ISP 제공)
보안 상대적으로 안전 해킹 위험 높음
속도 엄청 빠름 (1Gbps 이상) 인터넷 속도에 따라
비용 초기 장비 비용만 월 인터넷 비용
용도 파일 공유, 내부 시스템 웹사이트, 이메일

🔗 둘이 어떻게 연결될까? (저도 궁금했어요)

이게 진짜 신기한데요:

 
[내부 네트워크] → [공유기/라우터] → [외부 네트워크]
  192.168.1.x     (NAT 변환)      203.241.x.x
```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내부 IP를 외부 IP로 바꿔주는 마법사 같은 거예요
- 덕분에 사설 IP 여러 개가 공인 IP 하나만으로 인터넷 사용 가능!

---

## 3. ⚙️ DHCP 서버란? (진짜 편리한 친구예요)

### DHCP가 뭐길래?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이름은 어렵지만 하는 일은 간단해요!

**제가 이해한 방식:**
DHCP = 자동으로 IP 주소 나눠주는 로봇 🤖

#### 제가 겪은 실제 상황:

**❌ DHCP 없을 때 (진짜 지옥이었어요...):**
```
직원 A: "컴퓨터 새로 샀는데 IP 설정 어떻게 해요?"
저: "192.168.1.50 입력하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직원 B: "저도요!"
저: "당신은 192.168.1.51로..."
직원 C: "저도요!"
저: "😭😭😭"
```

30명한테 하나하나 설정해줘야 했어요... 그것도 누가 어떤 IP 쓰는지 엑셀로 관리하면서!

**✅ DHCP 설치 후 (천국!):**
```
직원: "컴퓨터 랜선 꽂았는데 바로 인터넷 되네요?"
저: "네~ DHCP가 자동으로 해줬어요 ㅎㅎ"
```

### DHCP가 해주는 일들

1. **IP 주소 자동 할당**
   - 컴퓨터 켜면 자동으로 IP 받아요
   - 중복될 걱정 없어요!

2. **서브넷 마스크 설정**
   - 보통 `255.255.255.0`
   - 이것도 자동으로!

3. **게이트웨이 정보**
   - 인터넷 나가는 문 주소
   - 보통 `192.168.1.1`

4. **DNS 서버 정보**
   - 구글 접속할 때 필요한 거
   - 자동 설정!

### 🛠️ DHCP 서버 설정 방법 (제가 실제로 했던 순서)

#### 필요한 것들:
- 공유기 (요즘 거의 다 DHCP 기능 있어요)
- 또는 윈도우 서버/리눅스 서버

#### 제가 쓰는 설정값 (중소기업 기준):
```
DHCP 시작 IP: 192.168.1.100
DHCP 끝 IP: 192.168.1.200
임대 시간: 24시간
게이트웨이: 192.168.1.1
DNS 서버: 8.8.8.8, 8.8.4.4 (구글 DNS)
```

💡 **제가 배운 팁:**
- IP 풀(Pool)을 너무 작게 잡으면 나중에 부족해요
- 고정 IP 필요한 장비(프린터, 서버)는 범위 밖으로!
- 임대 시간은 24시간이 적당한 것 같아요

### ⚠️ DHCP 없으면 어떻게 될까? (실제로 겪어봤어요)

어느 날 DHCP 서버가 다운됐어요:

- 기존 컴퓨터들: 임대 시간 남아서 정상 작동
- 새로 켜는 컴퓨터: IP 못 받아서 인터넷 안 됨
- 재부팅한 컴퓨터: IP 못 받아서 인터넷 안 됨

그날 전화 30통 받았어요... "인터넷 안 돼요!" 😭

---

## 4. 🎯 실전 활용 방법 (제가 실제로 쓰는 팁들)

### 집에서 설정하기 (초보자용)

제 집 네트워크 구성:
```
[KT/SKT 인터넷] → [공유기] → [내부 기기들]
  (외부 IP)         (NAT)      (192.168.0.x)
```

**제가 한 설정:**

1. **공유기 접속:**
   - 주소창에 `192.168.0.1` 또는 `192.168.1.1`
   - 비밀번호: 공유기 뒷면 확인 (저는 admin/admin이었어요)

2. **DHCP 설정 확인:**
   - 보통 기본으로 켜져 있어요
   - 혹시 꺼져 있으면 켜주세요!

3. **IP 범위 조정:**
   - 기기 10개 미만: 100~120 정도면 충분
   - 기기 많으면: 100~200으로 넓혀요

### 회사에서 설정하기 (중급자용)

저희 회사는 직원 50명이라:

**내부 네트워크 구성:**
```
층별 구분:
- 1층 사무실: 192.168.1.x (임직원용)
- 2층 개발팀: 192.168.2.x (개발 서버)
- WiFi 게스트: 192.168.100.x (방문객용)
```

**고정 IP 할당한 장비들:**
- 서버: 192.168.1.10
- 프린터: 192.168.1.11~15
- NAS: 192.168.1.20
- CCTV: 192.168.1.30~40

💡 **제가 배운 꿀팁:**
- 고정 IP는 앞번호로 (10~50)
- DHCP 풀은 뒷번호로 (100~200)
- 이러면 관리하기 편해요!

---

## 5. 🔧 문제 해결 가이드 (자주 겪는 오류들)

### ❗ 인터넷이 안 될 때 (제가 제일 많이 받는 질문)

#### 증상 1: "인터넷 연결 없음"

**제가 먼저 확인하는 것들:**

1. ✅ 랜선 제대로 꽂혔나?
   - 생각보다 이거 때문인 경우 많아요 ㅋㅋ

2. ✅ IP 주소 받았나?
```
   윈도우: cmd → ipconfig
   결과: 192.168.1.xxx 나오면 OK
        169.254.xxx.xxx 나오면 DHCP 문제!
```

3. ✅ DHCP 서버 살아있나?
   - 공유기 재부팅 (30초 대기 후)
   - 80% 이상 이거로 해결돼요!

#### 증상 2: "IP 주소 충돌" 경고

**제가 겪었던 원인:**
- 누군가 수동으로 IP 설정함
- DHCP 범위가 고정 IP랑 겹침

**해결 방법:**
```
1. cmd 열기
2. ipconfig /release (IP 반납)
3. ipconfig /renew (IP 다시 받기)
```

90% 이거로 해결돼요!

#### 증상 3: "특정 컴퓨터만 느림"

**제가 확인하는 순서:**

1. 다른 컴퓨터는 빠른가? → 그 컴퓨터 문제
2. 전체가 느린가? → 공유기/회선 문제
3. 특정 사이트만? → DNS 문제

**DNS 문제 해결:**
```
DNS를 구글 DNS로 변경:
기본 DNS: 8.8.8.8
보조 DNS: 8.8.4.4

이거 하고 나서 속도 2배 빨라졌어요!

🛡️ 보안 체크리스트 (해킹 당하지 맙시다!)

제가 꼭 확인하는 것들:

공유기 비밀번호 변경 (admin/admin은 위험!) WiFi 비밀번호 복잡하게 (최소 12자 이상) 불필요한 포트 포워딩 삭제 공유기 펌웨어 최신 버전으로 ✅ 게스트 WiFi 따로 운영 (내부망 분리)

실제로 당했던 경험: 작년에 공유기 비밀번호 admin/admin으로 방치했다가 해킹당했어요... 지금은 MyC0mp@ny!2025 같은 복잡한 걸로 바꿨어요!


6. 💎 3년 운영하면서 배운 것들

실수하기 쉬운 것들 (저도 다 겪어봤어요)

이렇게 하지 마세요:

  1. DHCP 범위를 너무 작게
    • 100~110으로 했다가 금방 꽉 참
    • 지금은 100~200으로 여유 있게
  2. 고정 IP를 DHCP 범위 안에
    • 서버 IP를 192.168.1.150으로 했는데
    • DHCP가 다른 컴퓨터에 또 할당해서 충돌!
  3. 공유기 재부팅 안 함
    • 6개월 동안 안 껐더니 먹통됨
    • 이제는 한 달에 한 번씩 재부팅해요
  4. 백업 안 해둠
    • 공유기 설정 날아가서 다시 설정...
    • 지금은 설정 백업 파일 저장해둬요

✅ 이렇게 하니까 좋았어요:

  1. IP 관리 문서 작성
    • 엑셀로 누가 어떤 IP 쓰는지 정리
    • 문제 생기면 바로 찾을 수 있어요
  2. 예비 공유기 준비
    • 중고로 하나 더 사둠
    • 고장 나면 바로 교체!
  3. 모니터링 툴 사용
    •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서 접속 기기 확인
    • 이상한 기기 발견하면 바로 차단

📝 마무리하며...

처음 네트워크 공부할 때는 정말 어려웠어요. 용어도 생소하고, 설정도 복잡하고... 근데 하나하나 직접 해보면서 점점 이해가 되더라고요!

제가 깨달은 핵심:

🎯 내부 네트워크 = 우리끼리만 쓰는 빠르고 안전한 네트워크 🌍 외부 네트워크 = 전 세계와 연결된 인터넷 ⚙️ DHCP 서버 = IP 주소 자동으로 나눠주는 편리한 친구

처음에는 어려워 보여도, 하나씩 따라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져요. 저도 처음엔 IP 주소가 뭔지도 몰랐는걸요? 😅

혹시 이 글 보고 따라해보셨는데 막히는 부분 있으면 댓글로 물어보세요! 제가 아는 범위에서 최대한 도와드릴게요. 같이 배우면서 성장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