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大小小 ACTIVITIES

대대소소의 소식을 전합니다.

ABOUT US

블로거 대대소소가 운영하는 블로그입니다. 다양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INNOVATION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통해 혁신적인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CONTENT

유용하고 흥미로운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피클볼에서 이기는 20가지 실전 팁

1. 키친 라인까지 최대한 빨리 이동하세요.

원문:
Get to the kitchen line as quickly as possible. The kitchen line (the non-volley zone line) is the best place to be in pickleball. You want to get there as soon as you can after the serve and return. Don't step into the kitchen unless the ball bounces in it, and always be ready to move back if you need to.

피클볼 키친 라인(논발리존)

자세한 설명:
피클볼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는 네트 바로 앞의 논발리존(키친) 라인입니다. 이곳에 서 있으면 상대의 공격을 빠르게 차단할 수 있고, 공격 기회도 많아집니다. 서브나 리턴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키친 라인까지 전진하세요. 단, 논발리존 안에서는 공이 바닥에 한 번 튄 후에만 칠 수 있으니, 라인 안으로 들어갈 때는 항상 주의하세요.

2. 상대의 백핸드 쪽을 노리세요.

원문:
Aim for your opponent's backhand. Most players have a weaker backhand than forehand. If you can, hit shots to their backhand side, especially when you're serving or returning.

피클볼 백핸드

자세한 설명:
대부분의 선수는 포핸드보다는 백핸드가 약합니다. 서브나 리턴, 랠리 상황에서 상대의 백핸드 쪽(오른손잡이라면 왼쪽, 왼손잡이라면 오른쪽)을 겨냥해 공을 보내면 상대가 수비하기 어렵고 실수 확률이 높아집니다. 특히 싱글 경기에서 효과적입니다.

3. 상대를 뒤로 물리게 하세요.

원문:
Keep your opponents back. Hit deep shots to the baseline to push your opponents back. When they're back, hit at their feet. Mix in some fast, spinning serves to keep them guessing, but only if you've practiced them.

베이스라인 샷

자세한 설명:
서브나 리턴을 깊게, 즉 베이스라인 근처까지 보내면 상대가 뒤로 물러나게 됩니다. 상대가 뒤에 있을 때는 발밑을 노려 공격하면 득점 확률이 높아집니다. 가끔은 빠르고 스핀이 들어간 서브로 변화를 주면 상대가 예측하기 어렵지만, 연습이 충분히 되어 있을 때만 시도하세요.

4. 패들을 항상 높이 들어 준비하세요.

원문:
Keep your paddle up. Hold your paddle up at chest height and in front of you so you're ready for fast shots.

패들 준비 자세

자세한 설명:
패들을 가슴 높이, 몸 앞에 두고 항상 준비하세요. 이렇게 하면 상대의 빠른 공격에도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패들이 아래로 내려가 있으면 반응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5. 대각선(크로스) 딩크를 연습하세요.

원문:
Practice cross-court dinks. Dinking cross-court gives you more margin for error because the net is lower in the middle and you have more court to work with.

크로스 딩크

자세한 설명:
딩크는 네트 가까이에서 부드럽게 넘기는 샷입니다. 대각선(크로스) 방향으로 딩크를 하면 네트 중앙이 낮아 실수할 확률이 줄고, 코트 폭도 넓게 쓸 수 있어 성공률이 높아집니다.

6. 다양한 서브를 연습하세요.

원문:
Work on your serves. You only get one serve, so make it count. Practice different speeds, spins, and arcs to keep your opponents off balance.

피클볼 서브

자세한 설명:
피클볼에서는 서브 기회가 한 번뿐입니다. 안정적으로 넣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다양한 속도와 스핀, 각도의 서브를 연습해두면 상대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연습을 통해 자신만의 서브 스타일을 만들어보세요.

7. 사이드라인 샷은 필요할 때만 노리세요.

원문:
Don't go for the sidelines unless you have to. Shots down the sidelines are riskier and have a higher chance of going out. Aim for the middle unless you see an opening.

볼 배치

자세한 설명:
사이드라인을 노리는 샷은 성공하면 멋지지만, 실패할 확률도 높습니다. 특별히 빈 공간이 보이지 않는 한, 코트 중앙을 노리는 것이 더 안정적입니다.

8. 공격과 수비 상황을 파악하세요.

원문:
Know when you're on offense or defense. If you're at the net and your opponents are back, you're on offense. If it's the other way around, play defense until you can move up.

공격과 수비 상황

자세한 설명:
내가 네트에 가깝고 상대가 뒤에 있으면 공격 상황, 반대로 내가 뒤에 있으면 수비 상황입니다. 공격 상황에서는 적극적으로 압박하고, 수비일 때는 실수를 줄이며 기회를 엿보세요.

9. 파트너와 함께 움직이세요.

원문:
Move with your partner. Stay in sync with your partner so you don't leave gaps for your opponents to exploit.

파트너와 함께 이동

자세한 설명:
복식 경기에서는 파트너와 항상 나란히 움직여야 합니다. 한 명이 앞으로 가면 다른 한 명도 같이 전진하고, 한 명이 뒤로 가면 같이 이동하세요.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협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 다양한 샷을 섞어 사용하세요.

원문:
Mix up your shots. Vary your shot heights, spins, speeds, and angles to keep your opponents guessing. Stick to your best shots in games, and try new ones in practice.

다양한 샷

자세한 설명:
공의 높이, 스핀, 속도, 각도를 다양하게 바꿔가며 샷을 구사하면 상대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경기에서는 자신 있는 샷 위주로, 연습 때는 새로운 샷을 시도해보세요.

11. 자세를 낮추고 발끝에 무게를 두세요.

원문:
Stay low and on your toes. Bend your knees and stay light on your feet so you can move quickly in any direction.

낮은 자세

자세한 설명:
무릎을 굽히고 자세를 낮추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발끝에 무게를 두면 방향 전환이 쉬워지고, 상대의 공격에도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12. 상대의 약점을 파악하세요.

원문:
Look for your opponent's weaknesses. If they struggle with low shots, hit drop shots. If they're slow to the net, keep them back. Adjust your strategy as you play.

상대 약점 공략

자세한 설명:
상대가 낮은 공에 약하다면 드롭샷을, 네트로 빨리 못 올라온다면 계속 뒤로 밀어내세요. 경기를 하면서 상대의 약점을 파악하고 전략을 유연하게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13. 3구 드롭샷을 마스터하세요.

원문:
Master the third shot drop. After the serve and return, hit a soft shot that lands just over the net in the kitchen. This gives you time to move up to the net.

3구 드롭샷

자세한 설명:
서브와 리턴 후, 세 번째 샷(3구)은 네트 바로 뒤에 살짝 떨어뜨리는 드롭샷을 사용하세요. 이 샷은 상대의 공격을 막고, 내가 네트로 전진할 시간을 벌어줍니다. 피클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14. 상대가 칠 방향을 예측하세요.

원문:
Watch your opponent's paddle. Pay attention to where your opponent's paddle is pointing to anticipate where the ball will go.

패들 관찰

자세한 설명:
상대의 패들 방향을 보면 공이 어디로 올지 미리 예측할 수 있습니다. 몸을 미리 돌려 준비하면 반응 속도가 빨라집니다.

15. 항상 집중하고 경계하세요.

원문:
Stay alert and ready. Always be prepared for the ball to come your way, even if you think your partner will get it.

준비 자세

자세한 설명:
언제든지 내 쪽으로 공이 올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집중하세요. 파트너가 받을 것 같아도 방심하지 마세요.

16. 파트너와 소통하세요.

원문:
Communicate with your partner. Talk about who will take shots down the middle, and encourage each other throughout the game.

파트너와 소통

자세한 설명:
복식에서는 중간으로 오는 공을 누가 받을지 미리 정하고, 경기 중에도 계속 소통하세요. 서로 응원하고 격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17. 바람을 이용하세요.

원문:
Use the wind to your advantage. If it's windy, adjust your shots and positioning to account for the wind's direction and strength.

바람 활용

자세한 설명:
바람이 불 때는 공의 궤적이 달라집니다.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파악해 위치와 샷을 조절하세요.

18. 컨티넨탈 그립(해머 그립)을 사용하세요.

원문:
Use a continental grip. Hold your paddle like a hammer so you can hit both forehands and backhands without changing your grip.

컨티넨탈 그립

자세한 설명:
컨티넨탈 그립은 망치 잡듯이 패들을 쥐는 방법입니다. 포핸드와 백핸드를 빠르게 전환할 수 있어 실전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19. 침착함을 유지하세요.

원문:
Stay calm and confident. Believe in your shots and don't get discouraged by mistakes. Have fun and enjoy the game.

즐기는 피클볼

자세한 설명:
자신의 샷에 확신을 갖고, 실수해도 침착하게 다음 플레이에 집중하세요. 무엇보다 피클볼을 즐기는 마음이 중요합니다.

20. 조언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세요.

원문:
Be open to advice. Listen to tips from more experienced players and try out new strategies to keep improving.

조언 수용

자세한 설명:
더 경험 많은 선수나 코치의 조언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세요. 다양한 전략과 기술을 시도해보며 계속 성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 팁

연습할 때는 일부러 어려운 샷을 많이 받아보면서 실전 대응력을 키우세요.

BAT 파일로 로그 파일 자동 정리하기

시스템 관리자나 개발자라면 로그 파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쌓여가는지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이러한 로그 파일을 수동으로 정리하는 것은 지루하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입니다. 하지만 Windows 환경에서 간단한 BAT(배치) 파일을 활용하면 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BAT 파일을 작성하여 로그 파일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TIP: BAT 파일은 단 몇 줄의 코드로 반복적인 파일 관리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시스템 관리자의 시간을 크게 절약해줍니다!

 

🔍 BAT 파일이란?

BAT 파일은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배치 파일로, 일련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스크립트 파일입니다. 확장자는 .bat 또는 .cmd를 사용합니다.

🌟 BAT 파일의 주요 특징:

  • 📝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쉽게 작성 가능
  • 🔄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효과적
  • 🕒 작업 스케줄러와 함께 사용하여 정기적인 작업 예약 가능
  • 💻 별도의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간단한 스크립트 작성 가능
BAT 파일 구조
 

BAT 파일은 기본적으로 Windows 명령 프롬프트에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시스템 관리와 파일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이상적입니다. 로그 파일과 같이 정기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파일의 경우, BAT 파일을 통해 쉽게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로그 파일 정리를 위한 BAT 파일 만들기

로그 파일을 효과적으로 정리하는 BAT 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 스크립트 작성하기

다음과 같은 단계로 간단한 로그 파일 정리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1. 메모장이나 다른 텍스트 편집기를 엽니다.
  2. 필요한 명령어를 작성합니다.
  3. .bat 확장자로 저장합니다.

기본적인 로그 파일 정리 BAT 파일의 예시 코드입니다:

@echo off
rem 로그 파일 정리 스크립트
setlocal enabledelayedexpansion

rem 변수 설정
set LOGDIR=C:\logs
set ARCHIVEDIR=%LOGDIR%\archive
set DAYSTOKEEP=30

rem 아카이브 디렉터리가 없으면 생성
if not exist "%ARCHIVEDIR%" mkdir "%ARCHIVEDIR%"

rem 날짜 형식 설정 (YYYY-MM-DD)
for /f "tokens=2-4 delims=/ " %%a in ('date /t') do (
    set DATESTR=%%c-%%a-%%b
)

rem 30일이 지난 로그 파일을 아카이브로 이동
forfiles /p "%LOGDIR%" /s /m *.log /d -%DAYSTOKEEP% /c "cmd /c if not @path contains 'archive' move @path %ARCHIVEDIR%\@file_%DATESTR%.log"

rem 60일이 지난 아카이브 파일 삭제
forfiles /p "%ARCHIVEDIR%" /m *.log /d -60 /c "cmd /c del @path"

echo 로그 파일 정리가 완료되었습니다.

2️⃣ 스크립트 세부 사항 조정하기

위의 기본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 로그 디렉터리 설정: 로그 파일이 저장된 디렉터리와 아카이브용 디렉터리를 지정합니다.

보관 기간 설정: 현재 폴더에 유지할 로그 파일의 기간(일)을 설정합니다.

📁 아카이브 폴더 생성: 아카이브 폴더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 날짜 형식 설정: 오늘 날짜를 YYYY-MM-DD 형식으로 가져옵니다.

🔄 파일 이동: 지정된 기간(예: 30일)보다 오래된 로그 파일을 아카이브 폴더로 이동합니다.

🗑️ 오래된 파일 삭제: 아카이브 폴더에서 특정 기간(예: 60일)이 지난 파일을 삭제합니다.

로그 파일 관리 흐름도
 
 

📊 주요 명령어 설명

BAT 파일에서 로그 파일 정리에 사용되는 주요 명령어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echo off

🔇 명령 실행 시 명령어 자체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출력이 깔끔해집니다.

setlocal enabledelayedexpansion

🔄 변수의 지연 확장을 활성화합니다. 루프 내에서 변수 값이 변경될 때 유용합니다.

set VARIABLE=value

📝 변수에 값을 할당합니다. 로그 디렉터리, 아카이브 디렉터리, 보관 기간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if not exist "path" mkdir "path"

📁 특정 디렉터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 생성합니다.

for /f 명령어

🔄 텍스트 출력을 처리하는 루프를 만듭니다. 날짜 정보를 파싱하는 데 사용됩니다.

forfiles 명령어

🔍 조건에 맞는 파일을 찾아 특정 명령을 실행합니다. 다음과 같은 옵션이 있습니다:

  • /p: 검색할 경로 지정
  • /s: 하위 디렉터리 포함 검색
  • /m: 검색할 파일 패턴 지정
  • /d: 날짜 필터링 (-N은 N일 이전)
  • /c: 실행할 명령어 지정

move 명령어

📦 파일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합니다.

del 명령어

🗑️ 파일을 삭제합니다.


⏱️ 자동 실행 스케줄링하기

BAT 파일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Windows 작업 스케줄러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하면 더욱 효율적입니다.

작업 스케줄러 설정 방법:

1️⃣ 작업 스케줄러 열기

  • 시작 메뉴에서 '작업 스케줄러'를 검색하거나 taskschd.msc 명령을 실행합니다.

2️⃣ 새 작업 만들기

  • 오른쪽 패널에서 '기본 작업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3️⃣ 작업 정보 입력

  • 작업 이름과 설명을 입력합니다 (예: "로그 파일 정리").

4️⃣ 실행 주기 설정

  • 일별, 주별, 월별 등의 옵션 중에서 원하는 주기를 선택합니다.
  • 대부분의 로그 관리는 일별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5️⃣ BAT 파일 경로 지정

  • '프로그램 시작' 작업을 선택하고 BAT 파일의 전체 경로를 입력합니다.

6️⃣ 완료

  • 설정을 검토하고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작업 스케줄러 설정

 

💡 스케줄링 팁:

  • 🕒 실행 시간 선택: 시스템 부하가 적은 시간(예: 새벽 2시)에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 반복 주기: 로그 생성 빈도와 중요도에 따라 일별, 주별 또는 월별로 설정합니다.
  • 📊 실행 계정: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의 경우 적절한 권한을 가진 계정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합니다.
  • 🔔 알림 설정: 작업 성공 또는 실패 시 이메일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면 모니터링에 도움이 됩니다.

🔄 실제 사용 사례

이제 로그 파일 정리를 위한 BAT 파일의 실제 사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1: 웹 서버 로그 관리

웹 서버(예: IIS, Apache)는 방대한 양의 로그 파일을 생성합니다. 다음은 이러한 로그를 관리하는 BAT 파일 예시입니다:

@echo off
setlocal enabledelayedexpansion

rem 웹 서버 로그 디렉터리 설정
set LOGDIR=C:\inetpub\logs\LogFiles
set ARCHIVEDIR=D:\LogArchive\WebServer
set DAYSTOKEEP=14

rem 아카이브 디렉터리 생성
if not exist "%ARCHIVEDIR%" mkdir "%ARCHIVEDIR%"

rem 날짜 형식 설정
for /f "tokens=1-3 delims=/" %%a in ('echo %date%') do (
    set DATESTR=%%c-%%a-%%b
)

rem 지정된 일수보다 오래된 로그 파일 압축 및 이동
forfiles /p "%LOGDIR%" /m *.log /d -%DAYSTOKEEP% /c "cmd /c echo 압축: @path && compact /c @path && move @path %ARCHIVEDIR%\@file_%DATESTR%.log"

rem 90일 이상 된 아카이브 파일 삭제
forfiles /p "%ARCHIVEDIR%" /m *.log /d -90 /c "cmd /c echo 삭제: @path && del @path"

echo 웹 서버 로그 정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례 2: 애플리케이션 로그 백업 및 정리

애플리케이션 로그를 백업하고 정리하는 예시입니다:

@echo off
setlocal enabledelayedexpansion

rem 애플리케이션 로그 디렉터리 설정
set APPLOGDIR=C:\Program Files\MyApp\logs
set BACKUPDIR=E:\Backups\AppLogs
set DAYSTOKEEP=7

rem 백업 디렉터리 생성
if not exist "%BACKUPDIR%" mkdir "%BACKUPDIR%"

rem 년-월-일 형식의 폴더 생성
for /f "tokens=1-3 delims=/" %%a in ('echo %date%') do (
    set YEAR=%%c
    set MONTH=%%a
    set DAY=%%b
    set DATEDIR=%BACKUPDIR%\%%c-%%a-%%b
)

rem 백업용 날짜 폴더 생성
if not exist "%DATEDIR%" mkdir "%DATEDIR%"

rem 모든 로그 파일을 날짜 폴더로 복사
xcopy /y "%APPLOGDIR%\*.log" "%DATEDIR%\"

rem 7일 이상 된 로그 파일 삭제
forfiles /p "%APPLOGDIR%" /m *.log /d -%DAYSTOKEEP% /c "cmd /c echo 삭제: @path && del @path"

rem 30일 이상 된 백업 폴더 삭제
forfiles /p "%BACKUPDIR%" /d -30 /c "cmd /c if @isdir==TRUE echo 폴더 삭제: @path && rd /s /q @path"

echo 애플리케이션 로그 백업 및 정리가 완료되었습니다.
BAT 파일 실행 콘솔
 

❓ 자주 묻는 질문 (FAQ)

❓ BAT 파일 실행 시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답변: 이 오류는 대개 권한 문제로 발생합니다. 다음과 같은 해결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 BAT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작업 스케줄러에서 '가장 높은 권한으로 실행' 옵션을 선택합니다.
  • 대상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적절한 읽기/쓰기 권한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특정 로그 파일만 제외하고 싶습니다.

💬 답변: findstr 명령과 함께 파이프를 사용하거나, 조건문을 추가하여 특정 패턴의 파일을 제외할 수 있습니다:

forfiles /p "%LOGDIR%" /m *.log /d -%DAYSTOKEEP% /c "cmd /c if not @file contains \"important\" move @path %ARCHIVEDIR%\@file_%DATESTR%.log"

❓ 로그 파일을 삭제하기 전에 압축하고 싶습니다.

💬 답변: PowerShell 명령이나 외부 도구를 사용하여 압축할 수 있습니다. 예시:

rem PowerShell을 사용한 압축
powershell -command "Compress-Archive -Path '%LOGDIR%\*.log' -DestinationPath '%ARCHIVEDIR%\logs_%DATESTR%.zip'"

rem 압축 후 원본 파일 삭제
forfiles /p "%LOGDIR%" /m *.log /d -%DAYSTOKEEP% /c "cmd /c del @path"

❓ 로그 파일 정리 작업의 성공 여부를 알고 싶습니다.

💬 답변: 작업 결과를 로그 파일에 기록하고, 오류 발생 시 이메일 알림을 보내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echo off
echo 로그 정리 작업 시작: %date% %time% > "%LOGDIR%\cleanup_log.txt"

rem 로그 정리 작업 수행
if errorlevel 1 (
    echo 오류 발생: %errorlevel% >> "%LOGDIR%\cleanup_log.txt"
    
    rem 이메일 알림 (외부 도구 필요)
    blat -to admin@example.com -subject "로그 정리 오류" -body "로그 정리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else (
    echo 작업 완료: 성공 >> "%LOGDIR%\cleanup_log.txt"
)

echo 로그 정리 작업 종료: %date% %time% >> "%LOGDIR%\cleanup_log.txt"

❓ 매우 큰 로그 파일(1GB 이상)을 처리할 때 성능 문제가 있습니다.

💬 답변: 대용량 파일을 처리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 보세요:

  • 로그 순환 주기를 짧게 조정하여 파일이 너무 커지지 않도록 합니다.
  •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처리하거나 시스템 부하가 적은 시간에 실행하도록 스케줄링합니다.
  • PowerShell이나 Python 같은 더 강력한 스크립팅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 정리 및 결론

BAT 파일을 사용한 로그 파일 정리는 Windows 환경에서 시스템 관리자의 일상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글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BAT 파일의 장점:

  • 간단한 문법으로 빠르게 스크립트 작성 가능
  •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Windows에서 바로 실행
  • 작업 스케줄러와 연동하여 완전 자동화 가능

🔹 로그 관리 전략:

  • 최신 로그는 빠른 접근을 위해 원본 위치에 유지
  • 오래된 로그는 아카이브 폴더로 이동하여 저장 공간 관리
  • 매우 오래된 로그는 자동으로 삭제하여 디스크 공간 확보

🔹 추가 고려사항:

  • 중요한 로그는 삭제 전 반드시 백업
  • 정기적으로 스크립트 실행 결과 확인
  • 로그 순환 정책을 시스템 요구사항에 맞게 조정

💡 TIP: 처음에는 간단한 BAT 파일로 시작하고, 필요에 따라 기능을 추가하며 확장하세요. 복잡한 작업의 경우 PowerShell이나 Python과 같은 더 강력한 스크립팅 도구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해 보세요!

로그 파일 정리 자동화는 시스템 관리의 기본적인 부분이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면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고 관리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제공한 예시와 팁을 활용하여 여러분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그 관리 솔루션을 구축하시기 바랍니다.

 

하나의 호스팅으로 여러 홈페이지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웹사이트를 여러 개 운영해야 하는데 호스팅 비용이 부담되시나요? 혹은 그누보드를 이용해 다양한 사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하나의 호스팅 서버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특히 그누보드(GNU Board)를 활용한 메뉴 관리 시스템을 복제하여 각기 다른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TIP: 하나의 호스팅으로 여러 웹사이트를 운영하면 비용 절감은 물론, 통합 관리로 인한 시간 절약까지 가능합니다!

📑 목차


🔍 멀티 호스팅의 개념과 장점

멀티 호스팅이란 하나의 서버나 호스팅 계정에서 여러 개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비용 절감: 여러 호스팅 계정 대신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사이트 운영 🔸 관리 효율성: 중앙 집중식 관리로 유지보수 시간 단축 🔸 리소스 공유: 데이터베이스 및 파일 시스템 공유로 효율성 증대 🔸 백업 용이성: 한 번의 백업으로 모든 사이트 보호 가능

그누보드를 사용하면 이러한 멀티 호스팅 구현이 더욱 쉬워집니다. 핵심은 메뉴 관리 시스템을 복제하여 각 사이트별로 독립적인 메뉴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이미지 표시 그누보드 관리자 화면에서 메뉴 관리 섹션


⚙️ 준비 사항

멀티 호스팅 설정을 시작하기 전에 다음 사항들을 준비해주세요:

1️⃣ 그누보드가 설치된 호스팅 계정 2️⃣ 데이터베이스 접근 권한 (phpMyAdmin 접속 가능) 3️⃣ FTP 접속 정보 4️⃣ 기본적인 PHP와 MySQL 지식

💡 TIP: 작업 전 반드시 현재 사이트를 백업해두세요. 파일과 데이터베이스 모두 백업이 필요합니다!


📋 메뉴 관리 테이블 추가하기

먼저 phpMyAdmin에서 기존 메뉴 테이블을 복제하여 새로운 메뉴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1️⃣ phpMyAdmin에 접속하여 그누보드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합니다.

2️⃣ 새 테이블 생성: 기존 g5_menu 테이블과 동일한 구조의 g5_menu2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다음 SQL 쿼리를 실행하세요:

 
sql
CREATE TABLE g5_menu2 LIKE g5_menu;

3️⃣ 테이블 구조 확인: 생성된 테이블에 다음 필드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me_id` int(13) NOT NULL AUTO_INCREMENT,     
`me_code` varchar(257) NOT NULL DEFAULT '',
`me_name` varchar(257) NOT NULL DEFAULT '',
`me_link` varchar(257) NOT NULL DEFAULT '',
`me_target` varchar(257) NOT NULL DEFAULT '0',
`me_order` int(13) NOT NULL DEFAULT '0',
`me_use` tinyint(4) NOT NULL DEFAULT '0',
`me_mobile_use` tinyint(4) NOT NULL DEFAULT '0',
phpMyAdmin에서 테이블 복제 및 확인하는 과정

 


🛠️ 관리자 메뉴 설정하기

이제 관리자 메뉴에 새로운 메뉴 관리 항목을 추가합니다.

1️⃣ admin.menu100.php 파일 수정:

/adm/admin.menu100.php 파일을 열고 다음 배열을 추가합니다:

 
php
$menu['menu100'][] = array('100290', '메뉴 관리2', G5_ADMIN_URL.'/menu_list2.php', 'menu2');

이 코드는 관리자 메뉴에 '메뉴 관리2'라는 새로운 항목을 추가합니다. 100290은 메뉴의 고유 ID로, 기존 메뉴 ID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 TIP: 관리자 메뉴 ID는 중복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고유한 값을 사용하세요!


📝 메뉴 관리 페이지 복제하기

다음으로 기존 메뉴 관리 페이지를 복제하여 새로운 메뉴 관리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1️⃣ menu_list.php 복제: /adm/menu_list.php를 복사하여 /adm/menu_list2.php를 생성합니다.

2️⃣ menu_list_update.php 복제: /adm/menu_list_update.php를 복사하여 /adm/menu_list2_update.php를 생성합니다.

3️⃣ 코드 수정: 복제한 파일들에서 다음 내용을 수정합니다:

menu_list2.php 파일:

 
php
$sub_menu = "100290"; // 관리자 메뉴에서 추가한 ID와 일치시킴
// 'menu' 관련 변수를 'menu2'로 변경
$g5['menu_table'] -> $g5['menu2_table']

menu_list2_update.php 파일:

 
php
$sub_menu = "100290"; // 관리자 메뉴 ID 일치
goto_url('./menu_list.php'); -> goto_url('./menu_list2.php');
$g5['menu_table'] -> $g5['menu2_table']

 

관리자 페이지에 추가된 '메뉴 관리2' 항목

 


🔄 설정 파일 수정하기

이제 그누보드 설정 파일에 새 테이블 정보를 추가합니다.

1️⃣ config.php 수정: /data/dbconfig.php 파일을 열고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php
$g5['menu2_table'] = G5_TABLE_PREFIX.'menu2'; // 메뉴관리2 테이블 추가

이 설정으로 그누보드 시스템에서 새로 생성한 메뉴 테이블을 인식할 수 있게 됩니다.


🖥️ 프론트엔드 파일 설정하기

이제 프론트엔드에서 새로운 메뉴를 표시할 파일을 설정합니다.

1️⃣ head2.php 생성: /theme/테마이름/head.php를 복사하여 /theme/테마이름/head2.php를 생성합니다.

2️⃣ 코드 수정: 생성한 head2.php 파일에서 다음 내용을 수정합니다:

 
php
// 기존 메뉴 테이블을 새 메뉴 테이블로 변경
{$g5['menu_table']} -> {$g5['menu2_table']}

3️⃣ 모바일 지원: 모바일 테마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php
include_once(G5_THEME_MOBILE_PATH.'/head2.php');
// 또는 기존 head.php를 사용하려면
include_once(G5_THEME_MOBILE_PATH.'/head.php');

📱 모바일 지원 설정하기

모바일 환경에서도 새로운 메뉴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모바일 head2.php 생성: /theme/테마이름/mobile/head.php를 복사하여 /theme/테마이름/mobile/head2.php를 생성합니다.

2️⃣ 코드 수정: 마찬가지로 메뉴 테이블 참조를 변경합니다:

 
php
{$g5['menu_table']} -> {$g5['menu2_table']}

🔀 사이트 분리하기

마지막으로 각기 다른 사이트를 위한 인덱스 파일을 설정합니다.

1️⃣ index 파일 분리: 기존 index.php를 기반으로 index1.php, index2.php 등을 생성합니다.

2️⃣ 배너 및 콘텐츠 분리: 각 인덱스 파일에서 표시할 배너와 콘텐츠를 적절히 분리합니다.

3️⃣ 헤더 파일 연결: 각 인덱스 파일에서 적절한 헤더 파일을 호출합니다:

 
php
// index1.php에서는 기존 head.php 사용
include_once(G5_PATH.'/head.php');

// index2.php에서는 새로운 head2.php 사용
include_once(G5_PATH.'/head2.php');

이렇게 설정하면 동일한 호스팅에서 각기 다른 메뉴 구조와 디자인을 가진 여러 웹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 여러 개의 메뉴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 성능에 영향을 미치나요?

메뉴 테이블은 크기가 작고 조회가 빈번하지 않아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사이트를 한 호스팅에서 운영할 경우 전체적인 서버 부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연결은 어떻게 하나요?

여러 도메인을 하나의 호스팅에 연결하려면 DNS 설정에서 각 도메인을 동일한 호스팅 IP로 연결하고, 웹 서버 설정에서 가상 호스트를 구성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호스팅 제공업체에 문의하거나 서버 관리자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각 사이트별로 회원 시스템을 분리할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그누보드는 회원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습니다. 회원 시스템을 완전히 분리하려면 더 복잡한 설정이 필요하며, 이는 본 글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마무리

이제 하나의 호스팅에서 여러 개의 웹사이트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을 알게 되셨습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호스팅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각기 다른 목적의 웹사이트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그누보드의 메뉴 관리 시스템을 복제하는 방식으로 각 사이트별로 고유한 메뉴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기법은 그누보드의 유연성을 극대화하는 좋은 예입니다.

💡 TIP: 처음 설정할 때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한 번 설정해두면 추가 사이트 확장이 매우 쉬워집니다. 꼭 백업을 생활화하세요!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웹사이트 관리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질문이나 피드백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Redis와 연동되는 n8n 워크플로우 엔진 설치하기

🚀 Redis와 연동되는 n8n 워크플로우 엔진 설치하기

💡 TIP: n8n과 Redis를 연동하면 워크플로우 실행을 분산 처리할 수 있어 확장성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인 n8n을 사용하다 보면 처리해야 할 작업이 많아질수록 성능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dis를 큐 시스템으로 연동하면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죠. 이 글에서는 Docker를 사용하여 Redis와 연동되는 n8n을 설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준비 사항

n8n과 Redis를 연동하기 위해 다음 항목이 필요합니다:

  • 🐳 Docker가 설치된 환경
  • 💻 명령줄 인터페이스(CLI) 접근 권한
  • 🌐 인터넷 연결
  • 📂 n8n 데이터를 저장할 로컬 디렉토리

🗑️ 기존 n8n 컨테이너 정리하기

기존에 n8n 컨테이너가 실행 중이라면, 새로운 설정으로 시작하기 전에 이를 정리해야 합니다.

docker stop n8n
docker rm n8n

이 명령은 실행 중인 n8n 컨테이너를 중지하고 삭제합니다. 걱정 마세요. 볼륨에 저장된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 Redis 컨테이너 실행하기

n8n에 연동할 Redis 컨테이너를 먼저 실행합니다.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docker run -d --name redis -p 6379:6379 redis:7 redis-server --requirepass rkdgh5963!

📋 명령어 분석:

매개변수 설명

-d 백그라운드에서 컨테이너 실행
--name redis 컨테이너 이름을 redis로 설정
-p 6379:6379 호스트의 6379 포트를 컨테이너의 6379 포트에 매핑
redis:7 Redis 버전 7 이미지 사용
--requirepass rkdgh5963! Redis 접속 비밀번호 설정

⚠️ 주의: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더 강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세요!


⚙️ Redis 연동 n8n 설치하기

이제 Redis를 큐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n8n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docker run -d \
  --name n8n \
  -p 5678:5678 \
  -e QUEUE_MODE=redis \
  -e REDIS_HOST=host.docker.internal \
  -e REDIS_PORT=6379 \
  -e REDIS_PASSWORD=rkdgh5963! \
  -v C:\Users\dedes\.n8n:/home/node/.n8n \
  n8nio/n8n

📋 명령어 분석:

매개변수 설명

-d 백그라운드에서 컨테이너 실행
--name n8n 컨테이너 이름을 n8n으로 설정
-p 5678:5678 호스트의 5678 포트를 컨테이너의 5678 포트에 매핑
-e QUEUE_MODE=redis n8n을 Redis 큐 모드로 실행
-e REDIS_HOST=host.docker.internal Redis 호스트 주소 (Windows/Mac의 Docker에서 호스트 머신 참조)
-e REDIS_PORT=6379 Redis 포트 설정
-e REDIS_PASSWORD=rkdgh5963! Redis 접속 비밀번호
-v C:\Users\dedes\.n8n:/home/node/.n8n n8n 데이터 디렉토리 매핑 (Windows 경로)
n8nio/n8n 사용할 n8n 이미지

💡 TIP: Linux 환경에서는 host.docker.internal 대신 172.17.0.1 또는 호스트의 실제 IP 주소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연결 확인 및 설정하기

n8n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면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5678에 접속하여 n8n 웹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Redis 연결을 확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n8n 웹 인터페이스에서 설정(Settings) 메뉴로 이동 2️⃣ Queue 설정 섹션 확인 3️⃣ Redis 연결 정보가 올바르게 표시되는지 확인:

  • Host: host.docker.internal
  • Port: 6379
  • Password: rkdgh5963! (또는 설정한 비밀번호)

⚠️ 주의: 실제 스크린샷에서 비밀번호는 보안상 가려진 상태로 표시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 Redis와 n8n을 연동하면 어떤 이점이 있나요?

Redis를 큐 시스템으로 사용하면 워크플로우 실행이 분산되어 처리됩니다. 이로 인해 대량의 워크플로우를 처리할 때 성능이 향상되고, 시스템 장애 발생 시에도 작업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Docker 없이도 n8n과 Redis를 연동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npm을 통해 n8n을 설치한 경우 환경 변수를 설정하여 Redis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관련 설정은 n8n 공식 문서를 참고하세요.

❓ 여러 n8n 인스턴스를 같은 Redis 서버에 연결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이것이 Redis 연동의 주요 이점 중 하나입니다. 여러 n8n 워커 인스턴스를 동일한 Redis 서버에 연결하여 부하 분산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Redis 비밀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특수 문자가 포함된 비밀번호를 사용할 경우, 환경 변수를 설정할 때 따옴표로 묶어 전달해야 합니다. Docker 명령어에서는 이스케이프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Redis와 연동된 n8n을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구성은 특히 대량의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거나 높은 가용성이 필요한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 TIP: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Redis 클러스터와 n8n의 여러 인스턴스를 구성하여 더 높은 확장성과 안정성을 확보하세요!

이제 Redis의 강력한 큐 기능을 활용하여 n8n 워크플로우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해보세요. 추가 설정이나 최적화에 관한 정보는 n8n과 Redis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8n #Redis #워크플로우자동화 #Docker #큐시스템 #DevOps #자동화도구

PDF 파일을 Claude 프로젝트에 활용하기

💡 TIP: PDF 파일을 Claude에 업로드하면 문서 내 정보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답변과 분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긴 문서도 Claude가 빠르게 처리해 시간을 절약해 보세요!

Adobe Acrobat Pro로 만든 PDF 파일을 Claude 프로젝트에 활용하면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문서 분석, 요약, 질문 답변 등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웹페이지에서 변환한 PDF 파일을 Claude에 업로드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구 자료 분석, 콘텐츠 요약, 정보 추출 등 Claude의 강력한 기능을 PDF 문서와 함께 사용해 작업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Claude에 PDF 파일 업로드하기

PDF 파일을 Claude에 업로드하는 기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Claude 프로그램 열기

 

2️⃣ 새 대화 시작하기

  • Claude 인터페이스에서 프로젝트 를 시작합니다.
  • '+ 새 프로젝트' 버튼이나 'New Chat' 옵션을 클릭합니다.

3️⃣ PDF 파일 업로드하기

  • 대화창 우측의 프로젝트 지식 "+"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파일 선택 대화상자에서 "기기에서 업로드" PDF 파일을 선택합니다.

4️⃣ 업로드 확인하기

  • 파일이 업로드되면 대화창에 파일 이름과 함께 업로드 완료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업로드 진행 상태가 표시되며, 파일 크기에 따라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5️⃣ 기본 지시 입력하기

  • PDF가 업로드된 후, "이 PDF의 내용을 요약해줘" 또는 "이 문서에 대해 질문할게"와 같은 기본 지시를 입력합니다.

💡 TIP: PDF 파일은 한 번에 여러 개 업로드할 수 있으며, 총 크기는 Claude의 최대 업로드 용량(일반적으로 10MB 내외) 이내여야 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 Claude에 업로드할 수 있는 PDF 파일 크기 제한은 어떻게 되나요?

Claude는 일반적으로 파일당 10MB 내외, 총 20-30MB(정확한 한도는 구독 유형에 따라 다름)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대용량 PDF는 Adobe Acrobat Pro의 'Reduce File Size' 기능을 사용하여 용량을 줄인 후 업로드하는 것이 좋습니다.

🔒 PDF에 암호가 걸려 있으면 Claude가 읽을 수 있나요?

암호로 보호된 PDF는 Claude가 내용을 읽을 수 없습니다. Adobe Acrobat Pro에서 암호를 제거한 후 업로드하세요. 단, 저작권 및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 PDF에 있는 표나 그래프를 Claude가 이해할 수 있나요?

Claude는 PDF의 텍스트 내용을 주로 처리하며, 표의 텍스트 내용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복잡한 그래프나 차트는 완벽하게 해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시각적 요소에 대해서는 "PDF의 15페이지에 있는 그래프는 어떤 내용을 보여주나요?"와 같이 구체적으로 질문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여러 언어로 된 PDF를 처리할 수 있나요?

Claude는 여러 언어로 작성된 PDF를 처리할 수 있으며, 질문한 언어로 답변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 PDF에 대해 한국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답변을 제공합니다.

📄 PDF의 특정 페이지만 분석할 수 있나요?

"PDF의 10-15페이지만 요약해주세요"와 같이 특정 페이지 범위를 지정하여 요청할 수 있습니다. Claude는 해당 페이지에 집중하여 분석하고 답변합니다.


📋 결론

Adobe Acrobat Pro로 만든 PDF 파일을 Claude와 함께 활용하면 단순한 문서 보관을 넘어 지능적인 정보 처리와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웹페이지에서 변환한 PDF 내용을 Claude에게 질문하고, 요약을 얻고, 인사이트를 발견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구 자료 분석, 업무 문서 요약, 학습 자료 정리 등에 Claude와 PDF를 함께 활용하면 정보 처리 시간을 크게 줄이고 더 깊은 이해와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Adobe Acrobat Pro로 변환하고 정리한 웹페이지 PDF들을 Claude에 업로드하여 더 스마트하게 활용해보세요.

💡 TIP: Claude와 PDF를 함께 활용할 때는 명확한 지시와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 더 정확하고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복잡한 작업은 단계별로 나누어 요청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Adobe Acrobat Pro로 웹페이지를 PDF로 변환하는 방법

💡 TIP: 웹페이지를 PDF로 저장하면 오프라인에서도 정보를 온전히 보존할 수 있고, 주석을 달거나 편집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웹상의 중요한 정보를 보존하고 싶으신가요? Adobe Acrobat Pro의 'Create PDF' > 'From Web Page' 기능을 활용하면 웹사이트의 내용을 PDF로 쉽게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웹페이지를 PDF로 변환하는 과정부터 변환된 PDF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연구, 정보 수집, 콘텐츠 보관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팁을 공유합니다.

 

🔍 Adobe Acrobat Pro로 웹페이지 PDF 변환하기

웹페이지를 PDF로 변환하는 기본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 Adobe Acrobat Pro 실행하기

  • Adobe Acrobat Pro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홈 화면에서 '파일' 탭을 선택합니다.

2️⃣ Create PDF 도구 선택하기

  • 도구 목록에서 '만들기' 옵션을 찾아 클릭합니다.
  • '웹 페이지에서 PDF' 옵션을 선택합니다.

3️⃣ 웹 주소 입력하기

  •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변환하고자 하는 웹페이지의 URL을 입력합니다.
  • 예: https://www.example.com

 

4️⃣ 변환 설정 및 실행하기

  • 기본 설정을 유지하거나 '다중 레벨 캡처'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 옵션을 조정합니다.
  • '작성'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을 시작합니다.

 

 

즉, "경로" 옵션은 특정 폴더 내에서만 가져오고, "서버" 옵션은 도메인 내에서만 가져오는 차이입니다.

5️⃣ 변환 완료 및 저장하기

  • 변환이 완료되면 PDF가 Acrobat에서 열립니다.
  • '파일(File)' > '저장(Save)' 또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As)'를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에 저장합니다.

💡 TIP: 웹페이지의 디자인이 복잡할 경우, 'Settings'에서 'HTML 변환 설정'을 조정하여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옵시디언 Dataview 플러그인으로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기 4탄

📚 실용적인 활용 예시

Dataview를 활용한 실용적인 예시를 알아보겠습니다:

1️⃣ 독서 관리 시스템

각 책 노트에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추가합니다:

 
markdown
---
title: "사피엔스"
author: "유발 하라리"
genre: "역사, 과학"
start-date: 2024-04-01
finish-date: 2024-04-15
rating: 9
---

그리고 다음 쿼리로 독서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markdown
```dataview
table author, genre, rating, (finish-date - start-date).days as "읽은 기간(일)"
from #book
sort rating desc
 
### 2️⃣ 프로젝트 관리 대시보드

프로젝트 노트에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추가합니다:

```markdown
---
status: "진행중" # 진행중, 완료, 보류
start-date: 2024-03-01
due-date: 2024-06-30
priority: "높음" # 높음, 중간, 낮음
tags: project, work
---

그리고 다음 쿼리로 프로젝트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markdown
```dataview
table status, priority, due-date, (due-date - date(today)).days as "남은 일수"
from #project
where status != "완료"
sort priority desc, due-date asc
 
### 3️⃣ 일기 분석

일기 노트에 기분 상태를 기록합니다:

```markdown
---
date: 2024-05-08
mood: "행복"
activities: ["운동", "독서", "친구 만남"]
---

그리고 다음 쿼리로 월별 기분 상태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markdown
```dataview
table rows.mood as "기분", length(rows) as "일수"
from "일기"
where date.month = date(today).month
group by mood
sort length(rows) desc
 
### 4️⃣ 학습 노트 추적

학습 노트에 마지막 복습 일자를 기록합니다:

```markdown
---
subject: "수학"
topic: "미분"
last-reviewed: 2024-05-01
review-interval: 7
---

그리고 다음 쿼리로 복습이 필요한 주제를 찾을 수 있습니다:

 
markdown
```dataview
table subject, topic, last-reviewed, review-interval
from #study
where date(today) >= date(last-reviewed) + duration(review-interval, "days")
sort (date(today) - date(last-reviewed)).days desc
 

옵시디언 Dataview 플러그인으로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기 3탄

🔧 고급 쿼리 기법

기본 쿼리를 이해했다면, 이제 더 강력한 고급 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필터링과 정렬

WHERE 구문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markdown
```dataview
table rating, author, genre
from "books"
where rating >= 8 and genre = "소설"
sort rating desc
 
### 2️⃣ 그룹화

GROUP BY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markdown
```dataview
table rows.file.link as "책", length(rows) as "수량"
from "books"
group by author
sort length(rows) desc
 
### 3️⃣ 계산 필드

계산된 새로운 필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markdown
```dataview
table rating, (time-finished - time-started).days as "읽는데 걸린 일수"
from "books"
where time-finished
 
### 4️⃣ 인라인 쿼리

마크다운 텍스트 안에 직접 간단한 Dataview 표현식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markdown
오늘(`= date(today)`)은 내 노트 시스템에 총 `= length(this.file.outlinks)` 개의 링크가 있습니다.

💻 JavaScript로 확장하기

더 복잡한 쿼리나 맞춤형 시각화가 필요하다면 DataviewJS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DataviewJS 활용

2021년에 읽은 책을 장르별로 그룹화하고 평점순으로 정렬하는 예:

 
javascript
```dataviewjs
for (let group of dv.pages("#book").where(p => p["time-read"].year == 2021).groupBy(p => p.genre)) {
    dv.header(3, group.key);
    dv.table(["제목", "읽은 날짜", "평점"],
        group.rows
            .sort(k => k.rating, 'desc')
            .map(k => [k.file.link, k["time-read"], k.rating]))
}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생성합니다:

### 소설
| 제목 | 읽은 날짜 | 평점 |
|------|-----------|------|
| 책 A | 2021-05-15 | 9 |
| 책 B | 2021-06-20 | 8 |

### 과학
| 제목 | 읽은 날짜 | 평점 |
|------|-----------|------|
| 책 C | 2021-02-10 | 9 |
| 책 D | 2021-03-05 | 7 |

### 인라인 DataviewJS

인라인 JavaScript 표현식도 지원됩니다:

```markdown
 



옵시디언 Dataview 플러그인으로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기 2탄

📝 기본 쿼리 작성하기

Dataview에서는 4가지 주요 쿼리 유형을 제공합니다:

1️⃣ TABLE 쿼리: 테이블 형식으로 데이터 표시

게임 폴더에 있는 모든 게임을 평점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예:

```dataview
table time-played, length, rating
from "games"
sort rating desc
 
이 쿼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생성합니다:

| File | time-played | length | rating |
|------|-------------|--------|--------|
| 게임 A | 120시간 | 중간 | 9 |
| 게임 B | 40시간 | 짧음 | 8 |

### 2️⃣ LIST 쿼리: 목록 형식으로 데이터 표시

MOBA 또는 CRPG 태그가 있는 게임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예:

```markdown
```dataview
list from #game/moba or #game/crpg
 
### 3️⃣ TASK 쿼리: 마크다운 작업 항목 표시

활성 프로젝트의 모든 작업을 표시하는 예:

```markdown
```dataview
task from #projects/active
 
### 4️⃣ CALENDAR 쿼리: 날짜별로 데이터 표시

특정 날짜 필드를 기준으로 캘린더 형식으로 표시하는 예:

```markdown
```dataview
calendar date
from "일기"
 

옵시디언 Dataview 플러그인으로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기 1탄

💡 TIP: Dataview 플러그인은 옵시디언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쿼리하고 시각화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옵시디언(Obsidian)은 마크다운 기반의 강력한 노트 앱이지만, Dataview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단순한 노트 앱을 넘어 완벽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로 변모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ataview 플러그인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활용 예시까지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 Dataview란?

Dataview는 옵시디언의 강력한 플러그인으로, 노트 파일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잡한 쿼리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노트 콜렉션을 데이터베이스처럼 검색하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

Dataview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메타데이터 쿼리: 노트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를 필터링하고 정렬 🔹 동적 테이블 생성: 쿼리 결과를 표, 목록, 작업 목록 등 다양한 형식으로 표시 🔹 자동 업데이트: 노트 내용이 변경되면 쿼리 결과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 JavaScript 확장: 더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JS API 제공

이 모든 기능을 활용하면 독서 목록 관리, 프로젝트 진행 상황 추적, 일기 분석 등 다양한 용도로 옵시디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구성하기

Dataview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노트에 구조화된 메타데이터를 추가해야 합니다. 메타데이터는 두 가지 방식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1️⃣ 프론트매터(Frontmatter) 사용하기

노트 상단에 YAML 형식으로 메타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markdown
---
alias: "문서 제목"
last-reviewed: 2024-05-10
rating: 8
tags: book, non-fiction
author: "홍길동"
---

# 노트 내용 시작

2️⃣ 인라인 필드(Inline Fields) 사용하기

노트 본문 내에서 직접 메타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markdown
# 책 리뷰

작성일:: 2024-05-10
평점:: 9
작가:: 홍길동

이 책은 매우 흥미로웠으며...

인라인 필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 기본 형식: 키:: 값
  • 굵은 텍스트: **키**:: 값
  • 인라인 형식: [키:: 값]
  • 숨김 키: (키:: 값)
Dataview 메타데이터 작성 예시




 

❓ 자주 묻는 질문

🤔 Dataview가 노트에 영향을 주거나 기존 노트를 변경하나요?

Dataview는 노트를 읽기만 할 뿐 변경하지 않는 안전한 플러그인입니다. 단, JavaScript 쿼리를 사용할 경우 코드에 따라 노트를 변경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다른 옵시디언 플러그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나요?

네, Dataview는 Templates, Calendar, Templater 등 다른 플러그인과 완벽하게 호환됩니다. 특히 Templater 플러그인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강력한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 대량의 노트에서 Dataview를 사용하면 성능 문제가 발생하나요?

대부분의 경우 성능 문제는 없지만, 수천 개의 노트나 복잡한 쿼리를 사용하면 약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limit 키워드를 사용하여 결과 수를 제한하세요.

🤔 Dataview 쿼리 결과를 다른 노트로 내보낼 수 있나요?

직접적인 내보내기 기능은 없지만, DataviewJS와 Templater 플러그인을 함께 사용하면 쿼리 결과를 다른 노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Quickadd 플러그인과 함께 사용하면 더 복잡한 자동화도 가능합니다.

🤔 메타데이터를 어떻게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나요?

템플릿을 사용하여 같은 유형의 노트에 동일한 메타데이터 구조를 적용하세요. Templater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날짜와 같은 값을 채울 수도 있습니다.

🤔 Dataview 쿼리 결과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나요?

네, Dataview는 노트가 변경될 때 자동으로 쿼리 결과를 업데이트합니다. 프리뷰 모드에서 볼 때 실시간으로 반영됩니다.

🤔 특정 폴더의 노트만 쿼리할 수 있나요?

네, from "폴더명" 구문을 사용하여 특정 폴더의 노트만 쿼리할 수 있습니다. 하위 폴더까지 포함하려면 from "폴더명" and descendants 구문을 사용하세요.


📌 결론

옵시디언의 Dataview 플러그인은 단순한 노트 앱을 강력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로 변모시켜 줍니다.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구조화된 정보 관리, 복잡한 쿼리를 통한 데이터 필터링과 분석, JavaScript를 활용한 맞춤형 시각화까지 가능합니다.

Dataview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1. 일관된 메타데이터 구조를 계획하고 템플릿을 활용하세요
  2. 간단한 쿼리부터 시작하여 점차 복잡한 기능을 익히세요
  3. 자신만의 대시보드를 만들어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구성하세요
  4. 다른 플러그인과 함께 사용하여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세요

💡 Dataview는 노트 작성에서 끝나지 않고, 작성한 노트에서 새로운 통찰을 발견하는 도구입니다. 메타데이터를 철저히 관리하고 쿼리를 통해 정보를 연결하면, 당신의 노트 시스템은 단순한 저장소가 아닌 지식의 네트워크로 진화할 것입니다.

 

티스토리 서식 활용해 프로페셔널한 블로그 포스팅 만들기

💡 TIP: 한 번 만들어둔 서식으로 일관된 디자인의 글을 쉽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매번 같은 형식의 글을 작성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의 '서식' 기능을 활용하면 미리 디자인한 템플릿을 언제든지 불러와 시간을 절약하고 일관된 디자인의 글을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티스토리 서식을 만들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서식의 개념과 장점

서식은 블로그 글 작성에 사용되는 미리 디자인된 템플릿입니다. 마치 워드 프로세서의 템플릿처럼, 자주 사용하는 글 구조와 디자인을 저장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식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시간 절약: 매번 같은 형식을 처음부터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 일관된 디자인: 모든 포스트가 통일된 스타일로 보여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합니다 🔹 작업 효율성: 글 구조에 대한 고민 없이 내용 작성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전문성: 체계적이고 정돈된 글 형식으로 블로그의 전문성을 높입니다


📝 효과적인 서식 만들기

효과적인 서식을 만들기 위해 다음 단계를 따라보세요:

1️⃣ 관리자 화면으로 이동하기

  • 티스토리 블로그에 로그인 후, 관리자 화면에서 콘텐츠 → 서식 관리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새 서식 작성 시작하기

  • '서식 쓰기'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서식 작성을 시작합니다.
  • 이 화면은 일반적인 글쓰기 화면과 동일하며 HTML 모드도 사용 가능합니다.

3️⃣ 서식 구조 디자인하기

  • 제목, 소제목, 본문, 구분선 등 블로그에 자주 사용하는 구조를 설계합니다.
  • 마크다운이나 HTML을 활용해 다양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4️⃣ 시각적 요소 추가하기

  • 이모지를 활용해 제목과 소제목을 꾸밉니다.
  • 인용구(>) 스타일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강조합니다.
  • 구분선(---)을 추가해 섹션을 구분합니다.

5️⃣ 플레이스홀더 텍스트 넣기

  • 나중에 교체할 내용은 "[제목 입력]", "[본문 내용]"과 같은 플레이스홀더 텍스트로 표시합니다.
  • 이렇게 하면 글 작성 시 어디에 어떤 내용을 넣어야 할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6️⃣ 서식 저장하기

  • 서식 제목(예: "리뷰 글 템플릿", "튜토리얼 템플릿")을 지정하고 저장합니다.
  • 서식 제목은 관리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실제 글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 서식 불러오기 및 활용하기

만들어둔 서식은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글쓰기 화면으로 이동

  • 티스토리 관리자 화면에서 '글쓰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서식 불러오기

  • 글쓰기 화면 상단의 '더보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 '서식'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된 서식 목록을 확인합니다.
  • 원하는 서식을 선택하면 해당 내용이 에디터에 자동으로 삽입됩니다.

3️⃣ 콘텐츠 채우기

  • 플레이스홀더 텍스트를 실제 콘텐츠로 대체합니다.
  • 필요에 따라 구조나 디자인을 조정합니다.

4️⃣ 최종 검토 및 발행

  • 모든 내용을 채운 후 미리보기로 확인합니다.
  • 필요한 수정을 진행한 후 글을 발행합니다.

💎 서식 활용 고급 팁

효과적인 블로그 운영을 위한 서식 활용 고급 팁을 소개합니다:

📌 목적별 서식 제작

다양한 콘텐츠 유형에 맞는 서식을 미리 준비하세요:

🔹 튜토리얼 서식: 단계별 지침이 포함된 구조 🔹 리뷰 서식: 장단점, 평점 시스템이 포함된 구조 🔹 비교 글 서식: 표를 활용한 제품/서비스 비교 구조 🔹 FAQ 서식: 질문과 답변 형식의 구조 🔹 목록형 서식: "TOP 10" 같은 순위 목록 구조

🎨 HTML 활용 커스텀 디자인

HTML을 활용해 더 독특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서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html
<div class="custom-box">
  <h3>🌟 포인트 체크!</h3>
  <ul>
    <li>중요 포인트 1</li>
    <li>중요 포인트 2</li>
  </ul>
</div>

📊 미디어 요소 자리 표시자

이미지, 동영상 등을 삽입할 위치도 미리 표시해두면 편리합니다:

 
[헤더 이미지 삽입 위치]

본문 내용...

[보조 이미지 삽입 위치]

🔁 여러 서식 조합하기

복잡한 글 구조가 필요할 때는 여러 서식을 조합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서식을 먼저 불러옵니다.
  2. 추가 섹션이 필요하면 다른 서식을 불러와 추가합니다.
  3. 필요에 따라 내용을 재배치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 만든 서식을 수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관리자 화면의 '콘텐츠 → 서식 관리'에서 수정하고 싶은 서식을 선택한 후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서식에 CSS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나요?

네, HTML 모드에서 스타일 태그나 인라인 스타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단, 스킨에 따라 일부 스타일이 무시될 수 있습니다.

🤔 서식을 다른 블로그로 복사할 수 있나요?

티스토리는 서식 내보내기/가져오기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서식 내용을 복사하여 다른 블로그의 서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서식에 포함된 이미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서식에 포함된 이미지 URL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필요에 따라 새 글에서 이미지를 교체하면 됩니다.


📌 결론

티스토리의 서식 기능을 활용하면 블로그 글 작성 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일관된 품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자주 작성하는 글 유형에 맞는 서식을 미리 준비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불러와 활용해보세요. 효율적인 콘텐츠 제작으로 블로그 운영의 부담을 줄이고 독자들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블로그 성공의 비결은 양질의 콘텐츠를 꾸준히 제공하는 것입니다. 서식을 활용해 콘텐츠 제작 시간을 줄이고, 더 많은 시간을 아이디어 구상과 연구에 투자하세요!

후원 QR 코드 커피한잔으로 응원하기!!

카카오 페이 / 토스 페이

좌측 메뉴 도네이션 배너

'분류 전체보기' 검색 결과

총 79개의 글이 있습니다.

피클볼에서 이기는 20가지 실전 팁

지식 공유/취미, 여가생활 · · by · 댓글 개
1. 키친 라인까지 최대한 빨리 이동하세요.원문:Get to the kitchen line as quickly as possible. The kitchen line (the non-volley zone line) is the best place to be in pickleball. You want to get there as soon as you can after the serve and return. Don't step into the kitchen unless the ball bounces in it, and always be ready to move back if you need to.자세한 설명:피클볼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는 네트 바로 앞의 논발리존(키친) 라인입니다. 이곳에 서 있으면 상대의 공..

BAT 파일로 로그 파일 자동 정리하기

지식 공유/IT, 인공지능 정보 · · by · 댓글 개
시스템 관리자나 개발자라면 로그 파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쌓여가는지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이러한 로그 파일을 수동으로 정리하는 것은 지루하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입니다. 하지만 Windows 환경에서 간단한 BAT(배치) 파일을 활용하면 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BAT 파일을 작성하여 로그 파일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TIP: BAT 파일은 단 몇 줄의 코드로 반복적인 파일 관리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시스템 관리자의 시간을 크게 절약해줍니다! 🔍 BAT 파일이란?BAT 파일은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배치 파일로, 일련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스크립트 파일입니다. 확장자는 .bat 또는 .cmd..

하나의 호스팅으로 여러 홈페이지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지식 공유/IT, 인공지능 정보 · · by · 댓글 개
웹사이트를 여러 개 운영해야 하는데 호스팅 비용이 부담되시나요? 혹은 그누보드를 이용해 다양한 사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하나의 호스팅 서버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특히 그누보드(GNU Board)를 활용한 메뉴 관리 시스템을 복제하여 각기 다른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TIP: 하나의 호스팅으로 여러 웹사이트를 운영하면 비용 절감은 물론, 통합 관리로 인한 시간 절약까지 가능합니다!📑 목차🔍 멀티 호스팅의 개념과 장점⚙️ 준비 사항📋 메뉴 관리 테이블 추가하기🛠️ 관리자 메뉴 설정하기📝 메뉴 관리 페이지 복제하기🔄 설정 파일 수정하기🖥️ 프론트엔드 파일 설정하기..

Redis와 연동되는 n8n 워크플로우 엔진 설치하기

지식 공유/IT, 인공지능 정보 · · by · 댓글 개
🚀 Redis와 연동되는 n8n 워크플로우 엔진 설치하기💡 TIP: n8n과 Redis를 연동하면 워크플로우 실행을 분산 처리할 수 있어 확장성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됩니다!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인 n8n을 사용하다 보면 처리해야 할 작업이 많아질수록 성능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dis를 큐 시스템으로 연동하면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죠. 이 글에서는 Docker를 사용하여 Redis와 연동되는 n8n을 설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준비 사항🗑️ 기존 n8n 컨테이너 정리하기🔄 Redis 컨테이너 실행하기⚙️ Redis 연동 n8n 설치하기✅ 연결 확인 및 설정하기🔍 자주 묻는 질문🔧 준비 사항n8n과 Redis를 연동하기 위해 다음 항목이 필요합..

PDF 파일을 Claude 프로젝트에 활용하기

지식 공유/IT, 인공지능 정보 · · by · 댓글 개
💡 TIP: PDF 파일을 Claude에 업로드하면 문서 내 정보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답변과 분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긴 문서도 Claude가 빠르게 처리해 시간을 절약해 보세요!Adobe Acrobat Pro로 만든 PDF 파일을 Claude 프로젝트에 활용하면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문서 분석, 요약, 질문 답변 등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웹페이지에서 변환한 PDF 파일을 Claude에 업로드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구 자료 분석, 콘텐츠 요약, 정보 추출 등 Claude의 강력한 기능을 PDF 문서와 함께 사용해 작업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Claude에 PDF 파일 업로드하기PDF 파일을 Claude에..

Adobe Acrobat Pro로 웹페이지를 PDF로 변환하는 방법

지식 공유/IT, 인공지능 정보 · · by · 댓글 개
💡 TIP: 웹페이지를 PDF로 저장하면 오프라인에서도 정보를 온전히 보존할 수 있고, 주석을 달거나 편집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웹상의 중요한 정보를 보존하고 싶으신가요? Adobe Acrobat Pro의 'Create PDF' > 'From Web Page' 기능을 활용하면 웹사이트의 내용을 PDF로 쉽게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웹페이지를 PDF로 변환하는 과정부터 변환된 PDF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연구, 정보 수집, 콘텐츠 보관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팁을 공유합니다. 🔍 Adobe Acrobat Pro로 웹페이지 PDF 변환하기웹페이지를 PDF로 변환하는 기본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1️⃣ ..

옵시디언 Dataview 플러그인으로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기 4탄

지식 공유/옵시디언 · · by · 댓글 개
📚 실용적인 활용 예시Dataview를 활용한 실용적인 예시를 알아보겠습니다:1️⃣ 독서 관리 시스템각 책 노트에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추가합니다: markdown---title: "사피엔스"author: "유발 하라리"genre: "역사, 과학"start-date: 2024-04-01finish-date: 2024-04-15rating: 9---그리고 다음 쿼리로 독서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markdown```dataviewtable author, genre, rating, (finish-date - start-date).days as "읽은 기간(일)"from #booksort rating desc ### 2️⃣ 프로젝트 관리 대시보드프로젝트 노트에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추가합니다:```..

옵시디언 Dataview 플러그인으로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기 3탄

지식 공유/옵시디언 · · by · 댓글 개
🔧 고급 쿼리 기법기본 쿼리를 이해했다면, 이제 더 강력한 고급 기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필터링과 정렬WHERE 구문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markdown```dataviewtable rating, author, genrefrom "books"where rating >= 8 and genre = "소설"sort rating desc ### 2️⃣ 그룹화GROUP BY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markdown```dataviewtable rows.file.link as "책", length(rows) as "수량"from "books"group by authorsort length(rows) desc ### 3️⃣ 계산 필드계산된 새로운 필..

옵시디언 Dataview 플러그인으로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기 2탄

지식 공유/옵시디언 · · by · 댓글 개
📝 기본 쿼리 작성하기Dataview에서는 4가지 주요 쿼리 유형을 제공합니다:1️⃣ TABLE 쿼리: 테이블 형식으로 데이터 표시게임 폴더에 있는 모든 게임을 평점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예:```dataviewtable time-played, length, ratingfrom "games"sort rating desc 이 쿼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생성합니다:| File | time-played | length | rating ||------|-------------|--------|--------|| 게임 A | 120시간 | 중간 | 9 || 게임 B | 40시간 | 짧음 | 8 |### 2️⃣ LIST 쿼리: 목록 형식으로 데이터 표시MOBA 또는 CRPG 태그가 있는 게임을 목록으로 표시하..

옵시디언 Dataview 플러그인으로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기 1탄

지식 공유/옵시디언 · · by · 댓글 개
💡 TIP: Dataview 플러그인은 옵시디언 노트를 데이터베이스처럼 쿼리하고 시각화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옵시디언(Obsidian)은 마크다운 기반의 강력한 노트 앱이지만, Dataview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단순한 노트 앱을 넘어 완벽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로 변모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ataview 플러그인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활용 예시까지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Dataview란?Dataview는 옵시디언의 강력한 플러그인으로, 노트 파일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잡한 쿼리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노트 콜렉션을 데이터베이스처럼 검색하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Dataview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타데이터 쿼리: 노트의 메타데이터를..

티스토리 서식 활용해 프로페셔널한 블로그 포스팅 만들기

지식 공유/IT, 인공지능 정보 · · by · 댓글 개
💡 TIP: 한 번 만들어둔 서식으로 일관된 디자인의 글을 쉽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매번 같은 형식의 글을 작성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의 '서식' 기능을 활용하면 미리 디자인한 템플릿을 언제든지 불러와 시간을 절약하고 일관된 디자인의 글을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티스토리 서식을 만들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서식의 개념과 장점📝 효과적인 서식 만들기🔄 서식 불러오기 및 활용하기💎 서식 활용 고급 팁❓ 자주 묻는 질문🛠️ 서식의 개념과 장점서식은 블로그 글 작성에 사용되는 미리 디자인된 템플릿입니다. 마치 워드 프로세서의 템플릿처럼, 자주 사용하는 글 구조와 디자인을 저장해두고..